다슬기 효능과 부작용, 고르는법, 먹는 방법, 손질법
다슬기란?
중복족목 다슬기과 다슬기속에 속하는 수산물입니다. 흔히 '고둥'이라고도 부르는데 고둥은 다슬기와 소라를 포함한 복족류 전체를 부르는 이름이기도 합니다. 패각은 탐형 또는 난형으로 표면은 나선형으로 주름지거나 오돌토돌한 돌기가 있는 종류, 매끈한 종류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민물에 사는 다슬기류는 대부분 흑갈색 또는 황갈색을 나타냅니다. 다슬기는 딱딱한 패각을 가지고 있어 외부의 충격으로 몸의 기관들을 안전하게 보호되며, 수분의 증발을 먹는 등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집니다. 물속에 있는 바위 밑이나 틈에 서식하며 야행성으로 낮에는 나오지 않습니다. 주로 된장을 풀어낸 국에 넣어 올갱이국으로 먹거나, 자체를 삶아서 소라처럼 하나씩 빼먹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폐디스토마의 중간 숙주로 다슬기를 날로 먹으면 폐디스토마에 걸리기 쉽기 때문에 무조건 삶아서 섭취해야 합니다.
(*흉막, 복강, 간 등 부위의 낭포중에서 발견되는 기생충성 또는 객혈로 알려져 있는 질환의 병원체)
다슬기 효능
간 건강
다슬기는 아미노산과 타우린 성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습니다. 열을 내려주고 간 기능 회복과 황달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입니다. 간경화나 간염 같은 간 질환 개선에도 효과적이며, 숙취해소와 피로회복에도 도움이 됩니다.
혈관건강
다슬기는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나쁜 콜레스테롤(LDL)을 배출해 혈액을 정화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다슬기는 심혈관 질환에 도움이 되는 칼륨과 엽록소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나트륨을 몸 밖으로 배출시키고, 체내 독성을 제거하여 심혈관 관련 질환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숙취해소
다슬기의 아미노산과 단백질인 타우린 성분이 간 기능을 강화시키며 신진대사의 활성화에 도움을 주어 숙취해소에 도움이 됩니다.
눈 건강
다슬기는 시력을 보호하고 눈이 충혈되고 피로하고 침침한 눈을 맑게 해 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다이어트
다슬기는 지방이 적고 칼로리는 낮으며 단백질은 풍부하여 다이어트 식품으로 좋습니다. 또 마그네슘과 미네랄 성분들이 위장 건강에 도움을 주어 변비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뼈 건강
다슬기의 풍부한 칼슘 성분은 골밀도를 강화시켜 성장기 아이들의 뼈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또 나이가 들면서 낮아진 골밀도를 높여주어 골다공증 예방에도 좋습니다. 풍부한 칼슘은 치아건강에도 도움을 줍니다.
위 건강
다슬기는 식물성 엽록소가 풍부합니다. 장내 좋은 균을 증가시켜 위장 면역력을 높이고 장 운동을 활발하게 합니다. 위통과 소화불량을 치료하고 변비를 개선합니다.
해독작용
다슬기의 엽록소는 식물보다 10배가량 농축되어 있다고 하는데요, 엽록소 안 피트산 성분이 체내 독소를 제거하고 해독작용을 하며, 중금속이나 미세먼지 등 유해 물질을 몸 밖으로 배출하는데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항산화 작용
다슬기의 아미노산 성분인 히스티딘 성분과 카르노신 성분이 항산화 작용을 하여 활성산소로 인한 각종 질병과 세포 산화, 노화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다슬기 고르는 법 & 먹는 방법 & 손질법
<고르는 법>
- 껍질이 깨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길다란 것
- 크기가 굵은 것
<먹는 방법>
다슬기는 국을 끓여 먹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며 된장국에 넣어 먹기도 합니다.
- 다슬기 국밥
다슬기를 삶아 바늘을 이용해 살을 뺍니다.
다슬기 삶은 물에 된장, 고추장을 풀어 끓여줍니다.
부추, 아욱을 넣고 고춧가루와 다진 파, 다진 마늘, 삶은 다슬기를 넣고 한소끔 끓여줍니다.
- 다슬기수제비
다슬기를 삶아 국물은 두고 다슬기 살은 빼 놓습니다.
밀가루에 물을 부어 수제비 반죽을 만들어줍니다.
애호박과 양파, 대파, 풋고추를 썰어 준비합니다.
물과 다슬기 국물을 섞어 국물이 끓으면 수제비 반죽을 떼어 넣습니다.
준비한 재료들을 넣고 끓이다 마지막 소금으로 간을 합니다.
수제비를 담고 다슬기살을 얹어 마무리합니다.
- 다슬기국
다슬기는 손질하여 끓는 물에 삶아 살을 빼고 국물을 따로 둡니다.
부추와 대파는 씻어서 썰어둡니다.
냄비에 다슬기 삶은 물과 부추, 대파를 넣어 끓여줍니다.
끓는 물에 다슬기살과 들깻가루, 쌀가루를 넣고 저으며 끓입니다.
국간장으로 간을 해줍니다.
- 다슬기 + 인삼/부추
다슬기는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인삼이나 부추 같은 따뜻한 성질의 식품과 함께 먹으면 좋습니다.
<손질법>
1. 껍질에 이끼나 이물질을 문질러 씻고 여러 번 헹궈줍니다.
2. 헹군 다슬기에 다시 물을 붓고 검은 비닐봉지를 덮어 3시간 이상 해감시킵니다.
3. 해감시킨 다슬기는 두세 번 더 헹군 뒤 굵은소금으로 문질러 씻습니다.
4. 깨끗한 물이 나올 때까지 여러 번 헹궈줍니다.
5. 다슬기를 끓는 물에 넣고 삶아줍니다.
6. 삶은 다슬기는 꺼내서 이쑤시개나 바늘을 이용해 살을 빼내 줍니다.
다슬기 부작용
다슬기는 차가운 성질이라 평소 체질이 차가운 분들이 섭취하는 경우, 배탈이나 설사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다슬기는 자연적 독성인 패독이 있어 날 것으로 절대 섭취하지 않습니다. 날 것 섭취 시 폐디스토마에 걸릴 수 있으니 주의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로버섯(트러플) 효능과 부작용, 고르는 방법, 보관법, 먹는 방법 (0) | 2021.09.28 |
---|---|
석이버섯 효능과 부작용, 고르는 방법, 손질하는 방법, 먹는 방법 (0) | 2021.09.28 |
소라 효능과 부작용, 소라 고르는 법, 먹는 방법, 손질법 (0) | 2021.09.28 |
싸리버섯 효능과 부작용, 먹는 방법, 고르는 법, 보관법 (0) | 2021.09.28 |
피조개 효능과 부작용, 먹는 방법, 손질법 (0) | 2021.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