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구 건조증 증세 및 예방법

반응형

그냥 눈이 뻑뻑하다고 해서 안구 건조증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한다. 대한 의사학회가 권고하는 자가 진단법으로 안구 건조증인지 아닌지 확인해 볼 수 있다. 해당 항목이 3~4개이면 안구 건조증 증상을 의심해야 하며 5개 이상이면 중증이니 병원에 꼭 방문해야 합니다.

※ 안구 건조증 진단법

● 눈이 뻑뻑하다.

● 눈앞에 막이 낀 듯하다.

● 눈이 쉽게 피곤해져 책을 오래 못 본다.

● 눈꺼풀이 무겁고 머리까지 아픈 것 같다.

● 눈에 모래알이 들어간 듯 이물감이 있다.

● 바람이 불면 눈물이 쏟아진다.

● 이유 없이 자주 충혈된다.

● 자고 나면 눈꺼풀이 들어붙어 잘 떠지지 않는다.

● 눈부심이 있으면서 눈이 자꾸 감긴다.

● 눈이 쏟아지는(빠지는) 느낌이 든다.

● 실 같은 분비물이 자꾸 생긴다.?

※ 안구 건조증 예방법

컴퓨터 이용 시 안구 건조증 예방법

보통 컴퓨터를 이용하게 되면 집중을 하기 때문에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급격히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의식적으로 눈을 자주 깜빡여주어야 안구 건조증을 예방할 수 있다. 되도록이면 모니터와 눈의 거리는 30cm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좋다. PC 모니터를 눈높이보다 조금 아래를 향하게 하여 시선을 아래로 향하게 하는 것이 눈물 증발을 적게 해 주어 안구 건조증을 예방할 수 있다.

환경 개선을 통한 안구 건조증 예방법

요즘처럼 건조한 날씨에는 환경적으로 수분이 부족하다. 이럴 때에는 가습기를 사용하여 습도를 높이고 온풍기 바람은 직접 쐬지 말아야 한다. 스마트폰 사용 시에도 충분한 휴식 시간을 가지고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사람은 관리를 잘해야 한다.

온찜질을 통한 안구 건조증 예방법

따뜻한 물수건을 눈 위에 놓고 5~10분간 찜질을 한다. 찜질 후 면봉으로 눈꺼풀을 가볍게 닦아준다. 간혹 눈에서 노란 이물질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눈 영양제를 통한 안구 건조증 예방법

눈 건강에 블루베리가 좋다고 한다. 블루베리도 좋지만 눈에 좋은 여러 영양소가 골고루 담긴 눈 영양제를 먹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