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 효능과 부작용, 고르는 방법, 먹는 방법
갓이란?
겨자의 한 변종으로 겨자에 비해 잎이 좀 크고 갈라지지 않으며 청자색을 띱니다. 흔히 채소로 심고 있으며, 줄기와 잎으로 김치를 담가 먹습니다. 열매는 둥근 기둥 모양으로 맺히며, 황갈색 씨는 작지만 맵고, 향기로운 냄새가 나서 양념이나 약재 등으로 쓰입니다. 독특한 향과 매운맛으로 잎과 종자를 식용하며, 종자는 가루로 만들어 향신료로 사용합니다. 겨자와 갓의 씨를 함께 겨자 또는 개자라고 하는데, 갓 씨는 겨자씨보다 매운맛이 덜하고, 류머티즘, 신경통, 폐렴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갓은 섬유 성분이 적어 조직이 부드럽고 단백질 함량이 다른 채소에 비해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피부미용에 좋으며 신경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이 있습니다.
갓은 녹색 갓, 적색 갓, 얼청 갓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여수 돌산갓은 녹색 갓 일종으로 일제강점기 때 우리나라에 들어왔습니다. 적색 갓은 우리나라 토종 갓이며 붉은색이 특징입니다.
※ 갓 효능
식욕 향상
갓은 특유의 톡 쏘는 매운맛이 있는데요, 이 독특한 맛이 식욕을 돋게 해 줍니다. 또 위장 운동을 도와 떨어진 입맛을 높여주는 효능이 있습니다.
빈혈 예방
갓에 풍부하게 함유된 엽산은 세포와 DNA 형성을 도와 빈혈을 예방합니다. 성장기 아이들은 엽산이 많이 필요한데요, 자칫 엽산이 부족한 경우, 아이들은 성인에 비해 악성빈혈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부족한 엽산을 보충하기 위해 갓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눈 건강
갓은 비타민 A 성분이 들어 있어 눈의 피로를 풀어주고 시력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야맹증이나 안구 건조증 등의 안구 질환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노화방지
갓은 카로티노이드 성분, 베타카로틴 성분, 여러 비타민 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성분들이 노화의 주범인 활성산소를 제거해 세포의 산화를 억제하여 노화방지에 도움을 줍니다.
성장발육
갓의 엽산 성분이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에 작용해 성장기 발육을 촉진시킵니다. 성장기 아이들에게 필수 식품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엽산은 비타민B와 결합해 성장발달, 적혈구를 생산하여 태아의 뇌 발달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임산부와 태아에게도 좋은 식품입니다.
면역력 향상
갓의 비타민A, C 성분이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면역력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감기에 자주 걸리거나 면역력이 떨어지는 분들에게 추천드립니다.
노폐물 제거
갓은 이뇨작용이 뛰어난데요, 체내에 쌓인 독소와 노폐물을 배출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뇨작용이 원활해지면서 신장기능의 개선에도 도움이 됩니다.
성인병 예방
갓은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하여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데 도움이 됩니다.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어혈을 제거하며,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줍니다. 혈액을 맑고 건강하게 만들어 고혈압, 동맥경화 등의 심혈관질환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항암효과
갓의 페놀, 엽록소가 활성산소를 제거해 각종 암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갓 고르는 방법
- 특유의 향기가 나고 단맛이 나는 것
- 솜털이 까슬하고 색이 짙은 것
- 줄기를 부러뜨렸을 때 연하고 상큼하게 부러지는 것
- 잎이 싱싱하고 윤기가 나며 부드러운 것
※ 갓 먹는 방법
생채로 샐러드를 해 먹을 수 있으며, 데쳐서 쌈으로도 먹을 수 있습니다.
무침 또는 된장국의 재료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갓김치
갓에 소금을 뿌려 절입니다.
쪽파를 썰어 준비하고 김치 양념 재료에 넣고 고루 섞어줍니다.
김치 양념에 절인 갓을 잘 버무려 보관용기에 꾹 눌러 담아줍니다.
갓물김치
붉은 갓과 실파는 다듬어 씻고, 소금을 뿌려 고루 절여지도록 뒤집어 1-2시간 절인 후 씻어 건집니다.
물에 찹쌀가루를 넣어 묽게 찹쌀풀을 쑤어 식혀줍니다.
무와 배를 납작하게 썰고, 마늘과 생강은 얇게 저며줍니다.
절여진 갓과 실파를 반으로 접어 묶고 항아리에 담습니다.
중간중간 무, 배, 마늘, 생강을 넣고 식힌 찹쌀풀을 갓이 잠기도록 붓습니다.
새우젓을 위에 뿌려줍니다.
※ 갓 부작용
갓은 성질이 따뜻해서 평소 체질이 열이 많은 분들은 과다 섭취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열이 많아 생기는 치질이나 변혈 환자들은 부작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갓의 잎은 휘발성의 매운맛이 특징으로, 맛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뜨거운 물로 조리하는 것보다 김치 등으로 숙성해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이 효능과 부작용, 보관법, 먹는 방법 (0) | 2021.09.29 |
---|---|
순무 효능과 부작용, 고르는 방법, 먹는 방법 (0) | 2021.09.29 |
바지락 효능과 부작용, 고르는 방법, 해감하는 방법 (0) | 2021.09.29 |
배추 효능과 부작용, 고르는 방법, 먹는 방법 (0) | 2021.09.29 |
귤 효능과 부작용, 고르는 방법, 먹는 방법 (0) | 2021.09.29 |
댓글